혼불 읽으려니 어려워 단어찾자

혼불 5권 8편 인연의 늪

나그네수복 2019. 5. 20. 14:32

183쪽

성골[]-[역사] 신라 , 골품 첫째 등급. 부모 모두 왕계 사람 이른다.

기골[]-호락호락하지 않아 보이는 건장하고 튼튼한 체격.

곤룡포[]-[역사] 예전, 임금 정복() 이르던 .

184쪽

옥대[]-[역사] 예전, 벼슬아치 공복() 두르던, 으로 만들어 .

물경[]-엄청나게. 또는 아주 놀랍게도. ‘놀라 마라 으로, 엄청난 말할 미리 내세우는 말이다.

아름- 벌려 껴안은 둘레 길이 물건 양.

교[郊]-하늘에 제사 지냄.

사[社]-토지신에 제사 지냄' 

종묘[]- [역사] 조선 시대, 역대 임금 왕비 위패 모시던 왕실 사당.

185쪽

각간[]-[역사] 신라 , 관등() 가운데 첫째 등급() 벼슬 이르던 . 진골() 이상 오를 있었다.

미염[艶]-아름답고 요염함. 또는 그런 모양.

무쌍[]-(사람이나 실력, 능력 따위) 서로 견줄 만한 없을 정도 뛰어남.

궁곡[]-깊은 산골짜기.

금지옥엽[金]-금으로 가지 으로 이란 으로 임금 일족() 높여 이르는 .

187쪽

궁금[]-군주 사는 궁궐().

여염[閭]-일반 백성 살림집 많이 모여 있는 .

극간[]-임금이나 윗사람에 잘못된 이나 행동 고치도록 있는 다하여 말함.

황막[]-(어떤 공간) 거칠고 아득하게 넓다.

방령[]-꽃처럼 화사하고 좋은, 한창때 나이라는 으로, 20 전후 여자 나이 비유적으로 이르는 .

188쪽

시위[]-임금 에서 모시며 호위함. 또는 사람.

배소[]-[역사] 예전, 죄인 귀양 사는 이르던 .

잠통[]-몰래 간통함.

붕어[]-임금 죽음.

190쪽

무지랭이-무지렁이(이나 이치 어둡고 어리석은 사람)

격차[]-품등, 자격, 가격 서로 다른 정도.

191쪽

훈요십조[]-[역사] 고려 태조 943 자손에게 귀감으로 남긴 가지 유훈().

침윤[]-사상이 분위기 따위 사람에게 차차 번져 나감.

193쪽

무세[]-(사람이나 집단) 세력 없음.

한미[]-형편이나 지체 구차하고 변변하지 못함.

194쪽

침중[]-(사람이나 태도) 가라앉아서 침울 무게 있음.

모반[-]-여섯모 여덟 나무그릇. 주로 음식 담아 나른다.

195쪽

무망간[-]-애써 바라지않음에도.

돈절[]-편지 소식 따위 아주 끊어짐.

196쪽

풍편[便]-어떤 이나 소문 누구에게 없이 간접적으로 듣게 이르는 .

암연[]-슬프고 침울함.

197쪽

낭재[郎]-신랑 만한 사람이나 사람.

199쪽

떨잠[-]-예전 부인 큰머리 어여머리 중심과 양옆 꽂던 비녀 하나. 걸을 마다 흔들려 떨린다.

200쪽

꼰사실-명주실을 꼬아 만든 실.

푼사실-꼬지 않은, 고치 그대로 . 여러 빛깔 물들여 놓는 쓴다.

201쪽

담쑥담쑥-자꾸 으로 조금 탐스럽게 쥐거나 팔로 포근하게 안는 모양 나타내는

201쪽

담살이-‘머슴살이’의 방언(전북).

202쪽

관장[]-일 맡아서 다룸.

몬창몬창-(사람) 결정 내리지 못하고 자꾸 주저하는 모습.

203쪽

반색-매우 기다리거나 보고 싶던 사람 대했을 몹시 반가워함. 또는 그러 태도 표정.

204쪽

우세두세- 모여서 나직한 목소리 두런두런 이야기하는 모양 나타내는 .

205쪽

꽃잠-깊이 .

209쪽

귀영머리-‘귀밑머리’의 방언(전남).

211쪽

수악[]-(사람) 매우 악함.

되작되작-무엇 이리저리 살짝 들추며 자꾸 뒤지는 모양 나타내는

깔담살이-꼴머슴 방언

물담살이-품삯을 받고 물을 길어다 주는 것으로 생계를 잇는 일

213쪽

노파심[老]-지나칠 정도 남의 걱정하는 마음.

웅건[]-(기상이나 기운) 크고 힘참.

뇌락[磊-(사람) 작은 얽매이지 않을 정도 마음 크고 넓음.

214쪽

북비파(北碑派)- 북위() 시대의 탁본()에 남아 있는 서풍에의 복귀를 제창함으로써, 북비파() 서론()의 선각자로서 유명하다

운필[]-글씨 쓰거 그림 그리기 위하여 붓을 놀림.

예주쌍즙[楫]-『책명』 중국 청나라 포세신이 지은 책. 논문 4권, 논서 2권, 부록 3권으로 되어 있으며, 서(書)를 논한 2권이 가장 유명하다.

215쪽

금문학파[파]-중국 한나라 통용된 문자 금문()으로 쓰인 경서 연구하는 학문. 《공양전()》예기()》 중심으로 한다.

양명학-[]-중국 명나라 왕양명 주장한 유교 학설, 지식 실천 일치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