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읽으려니 어려워 단어찾자

혼불 9권 4편 이 소식을 모르는 이 답답하여라

나그네수복 2019. 7. 19. 20:23

91쪽                                  

자애[]-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따사 돈독한 사랑

환희심[]-매우 기뻐하는 마음.

92쪽                             

진미[]-음식 좋은 . 또는 그런 음식물.

횡재[]-뜻밖에 재물 얻음. 또는 재물.

감념[]-사물 대하여 느끼고 생각. 마음으로 고맙게 느낌.

탄사[]- 매우 감탄하여 하는 .

의당[]-사리 보아 마땅히.

망연하다[--]-(방안이나 수단) 떠오르지 않아 막막하다

93쪽                   

번뇌초(煩惱草)-불가에서 사람의 머리카락을 이름.자라나 쓸데없는 번뇌와 어둠을 더부룩히 기르고 가꾸는 것이저 속세의 가련한 중생들 관습이라면스님들은 맨 먼저 이것들을 잘라내고 깎아내 없애버리는 것이 할 일이다

무명초 [無名草]-머리카락을 무명초라고 하는 것도, 자꾸 머리카락에 신경 쓰다 보면 불필요한 것에 마음을 쓰기 때문에 무명을 떨쳐버리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입니다.

결연히[-]-의지 결심 흔들리지 않고 .

삭도[]-[불교] 승려 머리털 깎는 쓰는 .

명경[]-맑은 거울.

풍경[]-절이 누각 건물에서, 처마끝 다는 작은 . 달고 쇳조각으로 붕어 모양 만들어 달아 놓은 인데,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려 쓸쓸하고 맑은 소리 낸다.

언저리-둘레 이룬 가나 가까이.

94쪽                                                                  

일격[]-단 번의 공격이나 타격.

불국토[]-[불교] 부처 있는 나라. 또는 부처 교화하는 나라. 극락정토() 이른다

피안[]-[불교] 진리 깨닫고 도달할 있는 이상적 경지 나타내는 . 산스크리트 pāramitā’ 번역어, 이승 번뇌 해탈하여 열반 세계 도달하는 또는 그런 경지 이른다.

화등잔[]-기름 담아서 등불 켜는 그릇.

95쪽                               

사부대중[]-[불교] 불문() 있는 가지 제자.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존위[]-높고 귀한 자리. 또는 자리에 앉은 사람.

부적[]-[민속] 재앙 막고 악귀 쫓기 위해 쓰는, 붉은 글씨 무늬 그려진 종이. 불교 도교 또는 민간 신앙 따위에서 악귀 잡신 쫓고 재앙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자 모양 그려 지니거나 붙인다.

욕계육천(欲界六天)-육욕천 또는 육천. 삼계 가운데에 욕계에 딸린 여섯 종의 하늘을 말함이니, 곧 사왕천・도리천・야마천・도솔타천・화락천・타화자재천 등임. 이 육천 가운데에서 사왕천은 수미산 허리에 있고, 도리천은 수미산 정수리(꼭대기)에 있으므로 지거천이라 말하고, 야마천・도솔타천(도솔천)・화락천・타화자재천은 다 구름을 붙여서 허공에 있으므로 공거천이라 말함.

사천왕천[]-[불교] 육욕천() 첫째. 수미산() 중턱 있는,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 다문천() 하늘 사천왕 권속 거주하는 ()이다. 위로 제석천() 섬기고 아래 팔부중() 지배하여 불법 귀의() 중생 보호한다고 한다.

천계[]-[불교] 하늘 위의 세계. 탐욕 욕계(), 미묘한 형체 있는 계천(), 정신적 존재 세계인 무색계천()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96쪽                    

제석천[]-[불교] 십이천() 하나. 수미산 꼭대기 도리천() 임금이다. 동방 지키고 희견성() 살며 사천왕() 통솔한다. 불법 불법 귀의하는 사람 보호하며, 아수라 군대 정벌한다는 하늘 임금이다. 산스크리트 이름 크라데바 인드라akra-devānām Indra)이다.

도리천[]-[불교] 육욕천(六) 둘째 하늘. 수미산 꼭대기 있는데, 가운데 제석천() 있고 사방 하늘 사람 거처하는 여덟 성이 있다.

휘하[]-대장기 아래라는 으로, 장수 통솔 아래 있음 이르는 .

문외한[]-어떤 전문적 지식이 조예 없는 사람.

선견성[]-[불교] 수미산 꼭대기 있다는, 제석천() .

삼십삼천[]-[불교] 육욕천(六) 둘째 하늘. 수미산 꼭대기 있는데, 가운데 제석천() 있고, 사방 하늘 사람 거처하는 여덟 하늘 있다고 한다.

야마천[]-[불교] 육욕천() 셋째 하늘. 수미산 꼭대기 있는 도리천 위의 공간 위치하며 밤낮 구분 없고 여러 가지 환락 누린다고 한다. 여기서의 하루 인간 세상 200년에 맞먹는다. 염라대왕 하늘 바뀌어 달라진 이다.

도솔천[]-[불교] 욕계 육천() 넷째 하늘. 수미산 꼭대기에서 12 유순() 되는 있으며, 이곳에서 미륵보살 산다. 내원() 외원() 있는데, 내원 미륵보살 정토이며 외원 천계 대중 환락하는 장소 한다.

낙변화천[樂]-[불교] 육욕천() 하나. 도솔천() 있고 타화자재천() 아래 있는 으로 하늘 나면 바라는 무엇이든 이루어지게 하여 즐겁게 한다고 한다.

타화자재천[]-[불교] 육욕천() 하나. 욕계 가장 높은 있는 하늘, 여기에서 태어난 자는 다른 이의 즐거움 자기 즐거움으로 만들어 즐길 수가 있다고 한다.

97쪽                           

비파[]-[음악] 현악기 하나. 타원형 몸통 짧은 자루 달려 있으며, 4줄로 당비파 5줄의 향비파 있다.

북방다문천왕[北]-불교 사천왕()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98쪽                               

나나니벌-[동물] 구멍벌과 속한 곤충. 몸길이 암컷 20밀리미터, 수컷 25밀리미터 가량이다. 몸빛깔 검고, 날개 투명한데 약간 황색 돈다. 7~8월에 파서 집을 짓고, 다른 벌레 잡아서 유충 먹이 한다.

실금-실처럼 가느다랗게 그은 .

조롬조롬-주름주름-주름-종이 옷감 따위 구김살. 옷의 따위 접어서 지게 이다.

행전[]-한복 바지 고의 입을 , 움직임 가볍게 하려고 바짓가랑이 정강이 감아 무릎 아래 물건. 반듯한 헝겊으로 소맷부리처럼 만들고 위쪽 달아 돌라매게 되어 있다.

소삼[素衫]-흰 적삼.  적삼-윗도리 입는 홑옷. 모양 저고리 같으나, 홑겹이며 바느질 박이 하였다. 보통 저고리 대용으로 여름 입는다.

사현[琴]-고려 예종 때에,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줄로 ().

(琴)-음악 아악기에 속하는 현악기의 하나. 현의 수에 따라 일현금삼현금오현금칠현금구현금 등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줄을 괴는 기러기발이 없어 소리가 맑으나 미약하다. 조선 시대까지 등가() 쓰였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99쪽                               

파문[]-수면() 잔물결.

얼비치다-( 어떤 장소) 어른거리게 비치다.

100쪽                                 

업신여기다-(사람 대상) 교만한 마음으로 낮추어 보거 하찮게 여기다.

오욕[]-[불교] 불도 닦는 장애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 색사(), 음식(), 명예(), 수면() 이른다.  [불교] 중생 참된 마음 더럽히는 다섯 가지. (), (), (), (), () 이른다.

칠정[]-사람 일곱 가지 감정.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심, 또는 기쁨, 노여움, 근심, 생각, 슬픔, 놀람, 두려움 이른다.  [불교] 사람 일곱 가지 감정.

무위[]-[철학] 자연 따라 행위하고 사람 생각 더하지 않는 .  [불교] 여러 가지 원인이나 인연 따라 이루어진 아닌, 생멸 변화() 초월하는 .

법열[]-[불교] 부처 가르침 설법으로 듣고 진리 깨달아 마음 일어나는 기쁨이나 환희.

101쪽                                             

극사실[]-『문학』 과학이 고도로 발달한 소비 자본주의 사회에서 복제된 물건이 원본보다 더 진짜 같아서 진짜 현실과 가상 현실을 구별하기 불가능해진 경우를 이르는 말. 보드리야르가 조합하여 사용한 말이다.

102쪽                                   

퉁방울-왕방울-큰 비유적으로 이르는 .

삼매경[]-[불교] 잡념 버리고 가지 대상에만 정신 집중하는 경지. 경지에서 바른 지혜 얻고 대상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삼매()’ 산스크리트 samadhi 음역어이.

103쪽                                         

사위[四位]-여기서는 사천왕을 가르킴.

장방형[]-[수학] 내각() 모두 직각이고 가로 세로 길이 다른 네모꼴. 또는 그러 모양

104쪽                                  

동안[]-나이 사람 어린아이 같이 천진스러운 얼굴 가지고 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친견[]-직접 보다.

105쪽                                     

서방광목천왕[] -[불교] 사천왕 하나. 서쪽 천국 지키면서 나쁜 물리치고 불심() 일으킨다고 한다.

남방증장천왕[][불교] 자기 남의 선근() 증진시킨다는 지닌 사천왕 이름. 여러 신들 거느리고 남방 지킨다. 왼손 주먹 쥐어 허리 대고 오른손에 형상이다.-

동방지국천왕[]-[불교] 사천왕() 하나, 동방() 수호하는 . 지국천 살며, 산스크리트 이름 드르트라스트라(Dhrtārātrā)이다.

내방치다-내치다- (사람 무엇) 내쫓거나 물리치다. (어떤 사람 물체) 내던져 버리다. (사람 붙잡은 이나 붙잡으려는 ) 힘껏 뿌리치다.

106쪽                                     

손사래-어떤 이나 부인하거나 조용히 하기 바랄 펴서 휘젓는 .

107쪽                               

천진무구[]-조금 때묻지 않고 자연 그대로 참됨.

첫들머리-입구 방언

108쪽                                    

고리눈-화나거나 놀라서 휘둥그레진 .

윤회[輪]-[불교] 생명 있는 죽어도 다시 태어나 생이 반복된다고 하는 불교 사상.

강용[]-억지로 부추기거 무리하게 권함.

109쪽                                     

궁곡[]-깊은 산골짜기.

여의주[]-용의 아래 있다고 전해지는 구슬. 사람 이를 얻으면 온갖 조화 마음대로 부릴 있다고 한다.

보탑[]-귀한 보배 장식 .  절 있는 높여 이르는 .

110쪽                                  

파하다[--]-(어떤 모임이나 여럿이 하던 일이) 끝나서 사람 모두 헤어지다.

111쪽                             

흉갑[]-가슴 보호하기 위해 입는 갑옷.

요의[ ]-허리옷(승려가 허리에 둘러 입는 짧고 검은 ).

무장상[武裝]-전쟁에 필요한 무기나 장비를 갖춘 차림새.

악귀[]-사람에게 몹쓸 짓을 하는 나쁜 귀신.

112쪽                                       

등신대[]-사람 크기 같은 크기.

후북하다-‘수북하다’의 방언-(물건 따위 어떤 공간) 많이 담겨 있거나 쌓여 있어 높이 두드러지다.

몽상[]-실현 가능성 없는 헛된 생각 .

113쪽                                   

운수납자[]-[불교] 돌아다니는 승려 무상한 구름 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

114쪽                                     

화제[]-그림 이름이나 제목.  그림 쓰는 시문().

귀면[]-귀신 얼굴.

복속[]-복종하여 따름.

건달바[@]-[불교] 팔부중() 하나 건달바 . 수미산 남쪽 금강 살면서 제석천() 아악 맡아본다는 ()으로 () 먹고 공중으로 날아다닌다고 한다.

115쪽                                   

강철[鐵]-민속 지나가기만 하면 초목이나 곡식이 말라 죽는다고 하는 전설상의 악독한 ().

역강[力]- (사람) 굳세 기력 왕성함.

군의[衣]-복식 허리 밑까지 내려오는 겉옷. 불상이나 보살의 옷에서 있다.

116쪽                     

주지스님[--]-절이 유지()되도록 총괄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하는 승려.

범종[]-[불교] 에서 사람 모이게 하거나 시각 알리기 위하여 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