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의 장벽이었던 베를린장벽은 화가들의 희망의 벽화 켄버스로 사용되어 과거를 흘려보내고있었다.이름하여 이스트사이드갤러리
베를린 장벽은 나그네가 꼭 보고싶은 곳이었다. 베를린시가지에는 여러가지 형태로 장벽이 있었던곳의 흔적을 남겨놓고 있다.
길고 큰 붉은색 파이프관을 경계선이었던 곳에 설치해서 구분해놓은 곳도 있고 바닥에 타일처럼 쇠붙이로 긴선을 박어서
표시해놓은 곳도 있고 기념으로 조금치의 장벽을 설치해놓은 곳도 있다. 그래도 상당한 길이의 장벽이 그대로 남아있는 곳이
동역 근처의 베를린 장벽이다.이 장벽은 지금 야외 벽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처음 베를린에 왔을때는 벽이라고 있으면
그어대는 그림이나 글씨들을 낙서로 생각했고 왜 그래야하는지 이해가 어려워 조잡하게만 느꼈는데 자주 보면서 그들의
공산독재에 대한 표현이 말로써는 하기 어려워 몰래 그어대는 낙서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이해하게되고 나름 물감의
재질에서 표현되는 질감들이 일반 페인트와는 다른 느낌을 받고 부터 정이 들기 시작했다.정이 들고부터는 그림 하나하나가
그냥 넘겨지지않고 무슨 뜻인지도 모르면서 유심히 보게되었다. 동역근처에 있는 장벽은 이스트사이트 갤러리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고 화가들이 대거 참여하여 작품들을 남겨놓는다. 역사의 전환점에 마음으로 참여하고 싶었던 베를린장벽인데 계획된
다른 일정이 시간의 제약으로 다가온다. 동역을 찾아오는 도중에도 어느 시민의 잘못된 안내로 전역에서 내리게되어 상당시간을
허비했다.전체를 다 둘러보지 못하고 급하게 급하게 촬영을 하고나서 떠나온 지금 생각하니 애석하기만하다.
이런 벽화 갤러리는 분단국가인 우리나라에서도 도입해서 임진각이나 한강에 대규모로 설치해놓으면 어떨지. 자라나는
미술학도들에게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합법적인 공간으로 제공되면 어떨지 혼자 생각해보고 웃음 지어본다.
http://www.eastsidegallery-berlin.de/: 이스트사이드갤러리 사이트
동역에 내렸더니 풍물시장이 열려있다. 슬슬 지나오면서 몇커트 찍어본다. 진열된 상품들이 재미있어서...
시간이 있으면 꼼꼼이 들여다보고도싶다.
동역에서 이스트 사이트로 가는 길목에서 일요일이라 예배안내를 하는 젊은이들이 보인다.
어떤 종류의 종교인지 모르지만 들고있는 악기들이 처음보는 것들이어서 급하게 한커트.
벽 안팎으로 끝도없는 그림들이 그려져있는데 바깥쪽은 그림다운 그림들이 안쪽은 낙서비슷한 그림들이 그려져있다.
바깥쪽을 둘러본 시간이 없어 안쪽 일부만 쭉 훑어본 결과가 이 그림들이다.
장벽을 베개삼아 오수를 즐기는 남루한 옷차림의 아저씨가 독일통일의 현실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듯한 아이러니가 있다.
장벽의 바깥쪽 그림의 한커트: 비교적 정돈된 작품들이 그려져있다. 일반 화가들의 그림처럼 제목이 있는것도 있고
작가의 사인이 있는 경우도 있다.